DESIGN THINKING BOOKS

프로젝트 기획과 조직의 성장을 위한 가이드라인과 방법론을 위한

디자인씽킹연구소의 발간 도서를 경험해 보세요

글로벌 혁신가들이 추천하는

디자인 씽킹 7 프로세스와 가장 혁진적인 워크 툴킷


비즈니스와 조직 혁신에 필요한 디자인 씽킹 도구를 모두 모았다!

2,500명의 디자인 씽킹 사용자 인터뷰를 바탕으로

150개의 디자인 씽킹 도구를 선별!


모든 조직은 나름의 문제가 있다. 혁신적인 사람은 그 문제를 술자리에서 풀지 않는다. 문제를 이해하고, 관찰하며, 다양한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해결책을 만들어 제시한다. 그렇게 성장한다.


이 책은 디자인 씽킹 7 프로세스에 필요한 도구와 설명, 사용법, 템플릿, 이미지, 그리고 전문가들의 사용 경험과 조언을 한 눈에 보기 쉽게 정리했다. 수많은 디자인 씽킹 도구 중에서 가장 사용 빈도가 높고 효과적인 것을 선별하기 위해 전 세계 디자인 씽커 2,50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했고, 100명이 넘는 전문가로부터 조언을 구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150개의 디자인 씽킹 도구는 조직의 뿌리 깊은 문제를 해결하거나,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큰 도움이 된다. 디자인 씽킹을 처음 접하는 초보자는 물론 혁신적인 디자인 씽킹 도구와 방법론을 빠르게 통합적으로 익히고 배우려는 전문 디자인 싱커 모두에게 유익하다.

mobile background

디자인 씽킹은 인간의 니즈,

기술적 가능성

그리고 비즈니스의 성공 등에 필요한 것을 통합하기 위해

디자이너의 툴킷에서 도출된

혁신에 대한 인간 중심의 접근 방식이다.


_팀 브라운(Tim Brown), IDEO 최고경영자

초심자의 마음으로 관찰하고, 이해하며,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프로토타입을 만들어 테스트하고,

결과를 회고한다!

Publisher's Description

출판사 서평

디자인 씽킹을 한 번도 접해보지 않은 사람들은 간단한 비유를 통해 디자인 씽킹의 개념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어릴 적 추억으로 되돌아가는 상상을 해보자.

특히 4살로 돌아가면, 이 또래 아이들에게는 공통점이 있다.

어떤 상황을 이해하기 위해 육하원칙 질문을 많이 한다는 것이다.

무결점 문화(zero-error culture)를 알고 있을 리 만무한 아이들은 행동하고 배우고 다시 반복한다.

그렇게 아이들은 배운다. 세월이 흐르면서 사람들은 이 탐구적이고 실험적인 접근법으로 세상을 배우는 방식을 잊어버린다.

그리고 학교와 대학에서 그 나머지 것들에 대해서만 관심을 갖도록 교육을 받으면서

좀더 폭넓은 방식으로 사실과 상황을 이해하고 질문하는 법을 배우지 못한다.


이 책은 “초심자의 마음”으로 어떤 질문에서 사소한 아이디어 조차 발견할 수 없다 하더라도 질문하는 행동을 격려하고 장려한다.

마치 지구에 처음 도착한 외계인처럼 왜 지구인들은 바다에 쓰레기를 버리고, 낮에 일하고 저녁에 자는지,

왜 넥타이를 매는지, 왜 부활절에 계란을 찾는지 등과 같은 질문을 던지길 바란다.

이 책은 다양한 창의적 기법의 도움을 받아 ‘거친(wild)’ 아이디어를 포함해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를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런 창의적인 작업은 우리의 좌뇌와 우뇌를 모두 활성화시킨다.


디자인 씽킹 7 프로세스에서 사용자의 니즈를 충족시키는 해결책을 얻기 위해서는 반복과 도약 그리고 아이디어를 융합하는 것이 필요하다(desirability). 해결책은 또한 경제적으로 실행 가능해야 하며(viability) 기술적으로도 구현 가능해야 한다(feasibility).

해결책으로 가는 과정, 특히 초기 단계에서는 실패를 기꺼이 허용하는 것 또한 중요하다.

이 책에 나와 있는 도구와 방법은 해결책을 찾기 위한 용도다.

그렇기 때문에 항상 상황에 맞게 변형하여 사용하게 된다.

디자인 씽킹을 몇 단어로 설명할 때 반드시 빠져서는 안되는 것이 바로 ‘다학제적 팀(interdisciplinary team)’을 통한

작업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한 분야에 대한 깊이 있는 지식과 다양하고 폭넓은 지식을 함께 소유하고 있는 “T 형” 팀원이 많이 모였을 때 가장 효과적이다.


다양한 배경을 가진 팀원(지역, 문화, 나이, 성별 등) 구성은 디자인 씽킹 과정에 큰 도움이 되고 획일화된 사고방식을 깨뜨리는데 기여한다.

디자인 씽킹에 관한 올바른 마인드세트의 핵심 요소는 바로 경쟁심이나 소유권(ownership)을 바탕으로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의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생성하는 것이다.

Endorsement

추천

“마이클, 래리, 패트릭은 기업에서 새로운 사고방식을 모색하거나 조직의 변혁을 목표로 하고 있는 독자들에게 실용적이면서도 영감을 주는 내용을 제시하고 있다. 디자인 씽킹에 관한 이 놀라운 도구의 세계에 빠져 보자.


예스 피그누어
로잔 대학교 교수 겸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공동 저자
“이 책은 디자인 씽킹과 관련된 가장 강력한 방법과 도구를 완벽하고 따라하기 쉽게 소개하고 있다. 디자인 씽킹과 관련된 탁월한 입문서다”


패트릭 반 더 피즐
비즈니스 모델 주식회사 CEO, 「디자인 씽킹 비즈니스를 혁신하다」 저자
“이 책은 디자인 씽킹을 사용하여 성공에 이르는 방법에 대한 실질적인 조언을 제시한다.”


마커스 두르스테위츠
에어버스 디자인 씽킹팀 대표
“디자인 씽킹에 관한 관심이 뜨겁다! 이 책은 새로운 시장에서 기회를 찾는데 다양하고 창의적인 방법이 얼마나 많은지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된다. 독자들에게 가장 큰 영감을 줄 이 책은 기존에 알려진 도구와 새로운 도구가 융합하는 혁신적인 접근 방법을 지향하고 있다.”


미르코 보칼레테
페라리 F1팀 COO

Author

저자

마이클 루릭  Michael Lewrick
베스트셀러 저자, 스피커, 혁신 및 디지털화 전문가


여러 대학에서 초빙교수로

디자인 씽킹을 가르치고 있다.

그의 도움으로 다수의 국제 기업들이

뛰어난 혁신을 개발하고 상업화할 수 있었다.

《디자인 씽킹 플레이북》, 《디자인 씽킹: 디지털 세계에서의 급진적인 혁신》의 저자.

패트릭 링크  Patrick Link
혁신 교수, 기업가, 린 스타트업 전문가


루체른 대학교 응용과학기술대학의 제품 혁신 및

산업 공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ETH 취히리에서 기계공학을 공부한 뒤,

로젝트 엔지니어로 활동하고 ETH 취히리에서

혁신경영 분야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지멘스에서 8년을 근무한 현재 제품 관리,

디자인 씽킹, 린 스타트업의 애자일 방법의 고도화

등을 집중적으로 연구하고 가르킨다.

트리하우(TriHow AG)의 공동 설립자이자

《디자인 씽킹 플레이북》 공동 저자.

래리 라이퍼  Larry Leifer
기계공학과 교수, HPI & 스탠퍼드 디자인 연구 센터 설립 이사


스탠퍼드 대학 디자인 센터(CDR)와

스탠퍼드 대학교 하소플래트너(Hasso Plattner)

디자인 씽킹 연구 프로그램의 기계공학 교수 겸

설립 이사다.

디자인 씽킹의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중

한 명이고, 개척자로 알려졌으며

학문간 융합 팀에서 일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며 

디자인 씽킹을 세상에 널리 알리고 있다.

Translator

역자

이유

디자인씽킹연구소 대표 겸 창립자, 혁신/창업/4차 산업혁명/사회공헌 전문가, 교육가, 혁신가


알토대학교(前 헬싱키경영경제대학교) 경영전문대학원, 미국 IIT공대 디자인혁신경영대학원을 졸업하고 기업의 혁신성장전략그룹에서 디자인 씽킹에 관한 다수의 프로젝트와 교육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 기업, 기관, 대학, 청소년의 교육과 컨설팅 및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디자인씽킹연구소의 연구소장을 맡고 있으며, 디자인 씽킹과 4차 산업혁명에 관한 연구와 저술 활동 및 관련 영역을 개척해 나가고 있다. 주요 활동 영역은 혁신, 창업, 창의적 사고, 4차 산업혁명, 사회공헌, ESG이고 기업과 대학 등 각 조직이 필요로 하는 부분을 교육, 프로젝트, 컨설팅, 자문 형태로 제공한다.


조은영

디자인씽킹연구소 수석 연구위원, Creative Thinking Designer


디자인씽킹연구소 수석 연구위원으로 기업과 기관, 대학생, 청소년을 대상으로 디자인 씽킹 방법론으로 혁신과 변화를 이끌어내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청소년을 위한 디자인 씽킹 교재를 개발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미래 교육 혁신 분야에 디자인 씽킹 방법론을 활용한 연구소의 컨설팅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디자인 씽킹의 적용 범위들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TOCfE(교육을 위한 제약 이론) 사고 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방법론을 교육 중이며 (사)한국TOC협회 이사, 국제TOCfE 마스터 퍼실리테이터로도 활발하게 활동 중이다.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