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HINKING ADVISING
조직의 프로젝트의 과정과 뛰어난 결과물을 위한
디자인 씽킹 어드바이징을 경험해 보세요.
DESIGN THINKING ADVISING
조직의 프로젝트의 과정과 뛰어난 결과물을 위한
디자인 씽킹 어드바이징을 경험해 보세요.
비즈니스 모델링 어드바이징
Overview
개요
비즈니스 모델은 아이디어의 종합적이고 전체적인 개념입니다.
흔히 이 아이디어와 비즈니스 모델의 개념을 몰라 아이디어만 가지고 시장을 다루거나 현실에 적용하려는 오류가 있는데 이는 매우 위험합니다.
이전 단계의 유저 테스팅을 거쳐 수정, 발전, 종합된 개념이 비즈니스 모델인데
이는 고객, 고객 가지, 수익모델, 내부 준비와 역량을 모두 포함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많은 경우 이 중에 하나 혹은 두 가지 이상의 요소가 빠져 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모두 채워 종합적인 개념을 만드는 것이 비즈니스 모델링입니다.
제품 위주의 시대에서 이제 미래 시대의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하고 이를 정립해야 우리는 새로운 경쟁력과 지속가능성을 갖게 됩니다.
저희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구체적이고 종합적인 개념의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교육과 컨설팅을 제공하고 있고
이를 통하여 보고서를 제출하고 현장을 지원합니다.
· 고객 중심의 가치 창출
· 문제 해결을 통한 차별화된 경쟁력 확보
·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구조화
· 리스크 최소화 및 민첩한 실험
· 내·외부 이해관계자 간 공감과 협업 촉진
· 경영진(CEO, 사업부장 등)
· 기획/전략 담당자
· 마케팅/고객 분석 담당자
· 기술/R&D 담당자
· 예비 창업자 & 기 창업자
●
주요 방법 및 툴킷
1. 린 캔버스(Lean Canvas)
2. 고객 여정지도(Customer Journey Map)
3.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How Might We, Point of View 등)
4. 즈니스 모델 캔버스(Business Model Canvas, BMC)
5. 비즈니스 계획서(Business Plan)
●
결과물
1.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BMC)
2. 고객 페르소나 및 고객 여정 지도(CJM)
3. 비즈니스 진행 여부
4. BM 적합성 테스트 보고서
5. 실행 전략 로드맵
Importance and examples of business modeling
비즈니스 모델링의 중요성과 사례
이와 같은 원칙은 콘셉트를 실제의 상품, 경험, 서비스로 구현하는 임무를 가진 조직에도 그대로 적용됩니다.
이 비즈니스 모델링의 목적은 아이디어가 실제 세계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성공할지 탐구하는 것입니다.
이것은 배우기 위해 만드는 것, 즉 디자인 솔루션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것과,
사용자가 솔루션을 어떻게 경험하는지 알기 위해 테스트하는 것입니다.
초기의 실패를 프로세스의 일부로, 반복을 멋진 솔루션에 도달하는 토대로 간주해야 합니다.
혁신 오퍼링 현실화 단계는 단순한 아이디어를 눈에 보이도록 만드는 것을 넘어,
디자인 솔루션이 어떻게 더 큰 전략적 목표와 부합하는지를 알아내기 위한 일련의 기획 활동입니다.
이것은 필요한 자원의 유형을 예측하고, 실행을 위해 세부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요약하면 오퍼링 현실화는 아이디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구현될지 기획하고, 아이디어를 실제로 구현하는 것 입니다.
‘비즈니스 모델링’의 마인드세트는 실용적, 평가적, 전략적이다. 실용주의는 아이디어 실현의 실용성에 관해 생각하고, 아이디어 실현을 위한 믿을 만한 전술을 총괄적으로 고안합니다. 평가적 마인드세트는 여러 번 반복해서 프로토타입을 만들고, 되풀이해서 테스트하고, 가치를 보여주는 것과 관련됩니다. 이 같은 노력은 실생활에서 최종 채택되도록 보장하기 위함입니다.
또한 올바른 전략을 선택하고, 진화하고, 성장하는 대안 경로를 만드는 것에도 초점을 둡니다. 이 모드에서 혁신가는 자신의 비전을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완벽하게 전달하기 위해 애써야 합니다. 조화로운 활동의 조정을 위해 모든 사람을 이끌어 혁신을 전달해야 합니다.
이 마인드세트에 관한 고전적 예시는 오빌과 윌버 라이트 형제가 최초의 고정형 날개 비행기를 만드는 과정입니다.
라이트 형제는 그 당시 팽배했던 이론과는 다르게 생각했습니다.
비행기는 자체적으로 평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신뢰할 만한 조종법이 중요하다고 믿었던 것입니다. 라이트 형제는 첫 번째 비행까지 몇 년 동안 조종법에 관해, 그리고 어떤 형태의 날개가 최적의 양력을 제공하는지 알기 위해 수없이 많은 글라이더를 만들었습니다. 글라이더는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학습과 가치 입증, 항공기 디자인의 미래에 영향을 미치는 프로토타입으로 작용했습니다.
이와 같은 선상에서 조직은 프로토타입 제작을 실험과 실생활 입증의 일환으로 생각해야 합니다.
마크 주커버그는 하버드 대학 기숙사에서 지역 기반의 개인 프로필 사이트로
온라인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인 페이스북을 공동으로 만들었습니다.
친구 네트워킹 도구인 페이스북은 아이비 리그 대학에서 미국과 캐나다에 있는 대부분의 대학으로 퍼져 나갔습니다.
더 나아가 유럽, 그리고 전 세계 모든 사람이 사용되는 소셜 네트워킹 플랫폼이 되었습니다.
페이스북은 조직 내 리더들이 보여준 강력한 실행 마인드세트 덕분에 극적인 성장 곡선을 보여줬습니다.
[혁신 모델의 탄생, 모드 7 서문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