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HINKING ADVISING

조직의 프로젝트의 과정과 뛰어난 결과물을 위한

디자인 씽킹 어드바이징을 경험해 보세요.

유저테스팅 어드바이징

Overview

개요

아이디어와 프로토타입은 현실에 적용하기 전 사용자 테스를 꼭 받아야 합니다.

이를 시장에 런칭하거나 현실에 적용하기 전 그 소비자의 입장에서 반드시 테스트와 검증을 받아야 하는 우리 조직들은

이 개념이 없거나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유저 테스팅은 정성적 조사와 정량적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데 우리 조직은 많은 경우 정량적 테스트의 오류에 빠지기 쉽습니다.

우리가 원하는 답변만을 얻어내는 결과는 그 한계가 분명히 존재합니다.

 

테스트는 정성적 조사를 거쳐 이를 분석하고 지표화 한 후 이를 정량적 테스트의 순서로 테스를 반드시 하여야 합니다.

이를 전체적으로 종합하여 아이디어의 부족한 부분을 보충하고 이를 수정하여 더 좋은 결과물로 내어야 합니다.

저희 연구소는 이러한 구체적인 방법으로 아이디어와 방안에 대한 종합적이고 객관적인 평가를 해 내도록 지원해 드립니다.


· 사용자의 진짜 니즈 확인

· 아이디어/프로토타입의 적합성 검증

· 개선 포인트 도출

· 사용자의 감정 및 반응 관찰

· 팀 내 가설의 검증 또는 반박


· 상품기획자 (Product Planners) 

· 이해관계자 (Stakeholders)

· 창업 준비자 (Start-up)

· UI/UX 전문가 (Design Consultants)

· 기술 담당자 (Developers or Engineers)

주요 방법 및 툴킷


1. 페이퍼 프로토타입(Paper Prototype) 테스트

2. 사용성 테스트(Usability Testing)

3. A/B 테스트

4. 정성 평가 & 정량 평가(Qualitative & Quantative Evaluation)

5. 고객 여정 맵(Customer Journey Map) 기반 인터뷰


결과물


1. 사용자 행동의 인사이트

2. 사용자 피드백 요약

3. 정성 & 정량 평가표

4. 우선순위 정리

5. 테스트 반복 필요성 평가


The Importance and Case of User Testing

유저테스팅의 중요성과 사례

세계 최고의 아이디어


사람들은 대부분 당면한 사업상의 문제를 해결하거나 사업 기회를 찾기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 해답을 알고 있습니다.

어떤 회사가 킬러 앱이나 새로운 제품 혹은 서비스로 큰돈을 벌었다는 소식을 듣곤 합니다.

아마 “우리 아이디어도 아주 훌륭해. 분명히 성공할 거야. 우리 회사 서비스는 다른 어떤 것보다 낫다고. 그렇지?”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실은 만만치 않습니다.

그 어떤 아이디어나 상품도 현실에서 실제 테스트를 거치기 전까지는 그저 추정에 근거한 하나의 생각에 불과합니다.

 

널리 알려진 블록 쌓기 게임 젠가를 예로 들어보면,

다른 블록을 떠받치고 있는 하나의 블록이 잘못되면 전체 블록이 무너지듯 당신의 아이디어도 이와 같습니다.

핵심 가정 하나가 잘못되면 전체 아이디어가 무너집니다.

아이디어는 그저 수많은 가능성 중 하나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우리는 종종 간과합니다.

디자인과 혁신의 여정에 있어서, 오직 하나만 존재하는 솔루션이라는 것은 없습니다.

다양한 옵션이 있을 뿐입니다. 검증을 거쳐 다양한 옵션 가운데 최선의 아이디어를 찾아내고,

그 아이디어가 실현 가능하도록 이끄는 것이 바로 우리가 해야 할 일입니다.


당신을 위한 DVD는 없습니다.


2011년 거대 스트리밍 회사 넷플릭스는 스트리밍과 DVD 사업을 별개의 이름과 웹사이트를 가진 두 개의 사업으로 분리하기로 결정하였습니다. 사업명은 스트리밍 서비스인 넷플릭스와 이메일을 통한 DVD 렌털 서비스 퀵스터로 했습니다. 서류상으로 볼 때 이 아이디어는 굉장해 보였습니다.

후속 비즈니스 모델을 전격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비즈니스 모델에 맞는 운영 및 마케팅 전략을 개발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일리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고객은 이 계획을 전혀 이해할 수 없었습니다. 넷플릭스는 그동안 고객을 즐겁게 해주는 일련의 서비스를 제공해왔습니다.

넷플릭스가 고객의 주목을 끌 수 있었던 것은 고객이 요구하는 엔터테인먼트적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끊임없이 노력했기 때문이었습니다.

 

그러나 넷플릭스는 서비스를 둘로 나눈다는 아이디어와 그로 인해 생길 결과에 대해 고객의 검증을 받지 않았습니다.

사업을 분리한 직후, 넷플릭스 CEO 리드 헤스팅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많은 회원이 두 개의 웹사이트를 별도로 이용하는 것이 어렵고 불편하다고 여기고 있음이 분명합니다.

결국 우리는 스트리밍과 DVD를 모두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넷플릭스를 다시 통합할 것입니다.”

 

사업을 두 개로 나누기 전에 가정을 검증하지 않았던 넷플릭스는 고객이 떠난 이유를 알아내기 위해

많은 시간과 자원을 쏟아부어야 하였고 결국 결정을 번복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디자인 씽킹, 비즈니스를 혁신하다, 검증하기 서문 중]

Advising case

어드바이징 사례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