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THINKING ADVISING
조직의 프로젝트의 과정과 뛰어난 결과물을 위한
디자인 씽킹 어드바이징을 경험해 보세요.
DESIGN THINKING ADVISING
조직의 프로젝트의 과정과 뛰어난 결과물을 위한
디자인 씽킹 어드바이징을 경험해 보세요.
사용자 조사 및 데이터 분석 어드바이징
Overview
개요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부분인 고객/소비자를 있는 그대로 조사하여 분석하여 이를 우리의 조직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조직이 존재하는 이유는 그들의 고객이 존재하기 때문인데 많은 경우 우리는 이를 간과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고객/소비자를 조사하는 방법에는 정성적 조사와 정량적 조사 방법이 있습니다.
정성적 조사는 그들의 의도를 우선으로 하여 살펴보는 방법이고 정량적 조사는 우리의 의도를 우선하여 살펴보는 방법입니다.
연구소에서는 이러한 고객/소비자에 대한 정성적 조사+정량적 조사를 기본으로 하여 조사하고 분석합니다.
· 사용자의 숨겨진 니즈 발견
· 공감 기반 문제 정의
· 고객 여정 및 행동 패턴 분석
· 솔루션 아이디어의 타당성 검증
· 디자인 개선을 위한 실증적 근거 제공
· UX 디자이너 – 사용자 니즈에 기반한 경험 설계를 위해 자문 필요
· 마케팅 담당자 – 타겟 고객 분석과 사용자 세분화를 위한 인사이트 획득
· 제품 관리자 (PM) – 사용자 피드백을 제품 기능 개선에 반영하기 위해
· 데이터 분석가 – 정성적 데이터 해석과 사용자 맥락 이해를 보완하기 위해
· 경영진/의사결정자 – 고객 중심 전략 수립을 위한 사용자 중심 데이터 이해
●
주요 방법 및 툴킷
1. 공감 인터뷰(Empathy Interview)
2. 관찰 조사(Shadowing / Contextual Inquiry)
3. 페르소나(Persona) 및 고객 여정 지도(Customer Journey Map)
4. 감성 분석 및 텍스트 마이닝
5. 카드소팅 및 컨조인트 분석
●
결과물
1. 타깃 사용자 프로파일링 : 사용자 세그먼트별 행동 패턴/욕구를 시각화한 3D 페르소나 모델 구축
2. 핵심 Pain Point 도출 : 정성적 인터뷰(100+)와 정량적 설문(500+) 데이터 크로스 분석을 통한 5대 불편요인 계층화
3. 여정 지도(Journey Map) 최적화 : 고객 경험 8단계 중 32% 개선 가능 구간 식별 및 프로토타입 검증
4. 솔루션 가설 검증 : A/B 테스트 결과 상위 3개 아이디어의 사용자 선호도 78%↑ (NPS 기준)
5. ROI 예측 모델 : 개선안 적용 시 예상 고객 유지율 15%p 상승, 연간 2.4억 원 비용 절감 시뮬레이션
The importance and examples of user research
사용자 조사의 중요성과 사례
사람을 이해한다는 것은 경청, 관찰, 상호작용, 분석으로 사람들의 생각과 감정, 욕구에 대해 공감하고 이해하는 것입니다.
사람들의 일상생활에 빠져들고 그들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것만으로도 매우 귀중하며 때로는 놀랍고 신선한 통찰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사람들이 행동하고 말하고 생각하는 모든 것에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제품에 대한 연구 뿐 아니라 사람들의 행동과 욕구, 동기 등 전반적인 경험을 깊이 이해하려는 생각을 가져야만 합니다.
그리고 사람들이 갖고 있는 문제, 실행 가능한 대안, 도전에 대한 극복, 표현하는 욕구와 표현하지 않는 욕구 등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사람을 이해하면 이들의 필요와 욕구를 근본적으로 충족하고, 참신하면서도 중요한 가치를 만들어내며,
따라 하기 어려운 전혀 새로운 범주의 제품과 서비스 또는 비즈니스 전략을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인도 자동차 시장에 관한 연구에서, 인도인들은 미국인들과는 다르게 인구의 10%만이 자동차 안에서 음식을 먹거나 음료수를 마시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한편 80%의 사람들이 승용차 계기판 근처에 종교적 상징물을 놓으며, 자동차를 보편적인 결혼 선물로 생각했습니다.
이런 모든 관찰은 ‘인도인들이 차를 어떻게 사는가?’라는 중심 연구의 주변부에 있었지만, 시장이 원하는 더 좋은 차를 디자인하는 데 귀중한 정보가 되었습니다.
몰입형 문화인류학적 조사(Immersive ethnographic research)는 새로운 제품이나 서비스를 개발하고자 하는 소비재 생산 회사들이 자주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새로운 목표 고객의 일상생활에 몰입해야만
다른 행동과 가치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미국의 문화인류학자인 마거릿 미드(Margaret Mead)가
몰입형 문화인류학적 연구법을 개척한 선구자입니다.
작은 사모아인 그룹 내에서 진행한 연구에서 그녀는
9살에서 20살 사이의 젊은 여성 68명을 알아가고, 같이 살고, 관찰하고 인터뷰함으로써, 아동기에서 성인기로 가는 동안의
행동에 관한 흥미로운 통찰들을 구조화할 수 있었습니다.
140자로 글을 제한하는 마이크로블로깅(microblogging) 서비스를 요청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궁금할 수 있습니다.
아마 모든 사람이 부정적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2011년에 트위터는 300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확보하였습니다.
이 마이크로블로깅 서비스는 친구 또는 낯선 사람들과 140자의 소식을 빠르게 주고받는다는,
이전에 전혀 언급된 적 없는 새로운 욕구를 충족해 주었습니다.
욕구에 대한 언급이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트위터는 매일 16억 개의 검색어를 처리합니다.
연구소 발간 도서, 디자인씽킹교과서 1 글로벌 혁신가들이 추천하는 디자인 씽킹 7 프로세스와 가장 혁신적인 워크 툴킷 서문 중에서 발췌
Advising case
어드바이징 사례
OO그룹 현장 관찰과 심층 인터뷰
OO그룹 맥락적 분석·종합 사례
OO학교 현장 관찰과 심층 인터뷰
OO학교 맥락적 분석·종합 사례